전체 글66 UUID 출결 시스템에 QR 코드를 적용하면서 겪은 것들 정리하면서 한번 더 공부하기!이번 프로젝트에서 QR이미지를 이용하면서 출결을 관리할 수 있는 로직을 만들어야 했다.기능적인 부분에서는 QR 코드 이미지가 매번 다르게 생성되어야 했고, 출결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유효 시간 조건도 포함되어야 했다.이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선택한 것이 바로 UUID였다. ✅UUID ? UUID란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의 약자로 128bit의 고유 식별자를 뜻한다.다른 고유 ID 생성 방법과 다르게 UUID는 중앙 시스템에 등록하고 발급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빠르고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FC 4122문서에 정의된 UUID 버전 4 표준 규약에는.. 2025. 4. 18. nextTick() nextTick ?nextTick = Vue에서 DOM 업데이트가 완료된 이후에 콜백을 실행하도록 보장해주는 비동기 유틸 함수 DOM?DOM(Document Object Model)은 HTML이나 XML 문서를 브라우저가 이해하고 조작할 수 있게 만든 트리 구조의 객체 모델이다.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들(텍스트, 버튼, 이미지 등)을 트리 구조로 표현했다고 생각하면 쉽다! Vue에서는 데이터를 바꾸면 자동으로 UI도 함께 바뀐다.예를 들어 ref()나 reactive()값이 바뀌면 Vue는 내부적으로 DOM을 새로 그려주는데 이런 과정을 렌더링이라고 한다. "데이터가 바뀌었으니까 DOM도 바뀌었겠지?! DOM 조작해!"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건 데이터가 바뀐다고 해서 DOM이 즉시 바뀌지는 않는다는.. 2025. 4. 11. Deserialization Failure due to Date Format Deserialization Failure due to Date Format(날짜 포맷 역직렬화 실패) 지금 개발하고 있는 부분에 날짜 포맷을 사용해야 하는 부분이 있었다.사용자가 해당 날짜를 수정해서 저장도 가능하고, 저장한 값들은 불러올 수도 있어야 한다.하지만 시간 저장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오늘의 오류 공부하기 ⚠️문제필드에서 날짜를 입력후 저장하게 되면 500에러 발생 ❔원인프론트에서 날짜에 대한 type 값이 여러개 있는데type="text"는 날짜, 시간 선택에 대한 범위가 없고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하지만 기본 제공되는 달력 라이브러리나 이런 편의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것을 받아서 쓴다. type=”date”는 날짜만 선택 가능하다. 지금 나의 경우에는 시간도 선택.. 2025. 4. 10. Vue3 지금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프론트 부분은 vue3를 사용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처음 접하게 돼서 공부하고 배워가면서 하고 있다. Vue2 / Vue3 지금은 Vu3가 가장 최신 릴리즈라고 한다. Vue2에서는 Options API 방식으로 data, methods, computed, watch 등으로 나눠서 컴포넌트를 구성했지만Vue3에서는 Composition API라는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어서 로직을 기능 단위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나는 바로 Vue3로 시작해서 잘 몰랐지만 프로젝트 파일들을 보면 기능별로 컴포넌트들이 세세하게 쪼개져있어서 재사용하기 매우 편했고 기능별로 나눠져 있었기 때문에 구조 파악이 비교적 쉬웠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컴포넌트들의 로직 분리를 쉽게 할 수 있고.. 2025. 4. 2. 첫 출근 정리하기 chocolatey, powershellchoco install ~ 카카오워크inteliJdbeaverpostmanvscodejdk11, 1.8raidrivesourcetreetestflightSSHReactgitlabredminenode.jsyarnrsa.pub 객체지향 프로그래밍함수형 프로그래밍선언형 프로그래밍리눅스 명령어 공부하기리액트 공부하기 2025. 3. 24. react,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의 Generic이란? > 타입스크립트를 경험해보지는 못했지만, 자바의 제네릭은 알고 있다.자바의 제네릭은 클래스나 메서드에서 사용할 데이터 타입을 나중에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타입을 매개변수로 받는다고 생각)이다. T func(T val) 처럼 제네릭 타입(T)를 선언해서 어떤 타입이든 받아서 변환할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의 제네릭도 비슷한 개념인 것 같다.어떤 타입이 올지 미리 정하지 않고 나중에 사용할 때 타입을 외부에서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이렇게 되면 코드를 재사용하면서도 타입 안정성을 보장해주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any를 사용하는 함수는 어떤 타입이든 받을 수 있지만, 반환 타입이 정확하지 않아 타입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identity(123)처럼 .. 2025. 3. 22.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