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Vue2 nextTick() nextTick ?nextTick = Vue에서 DOM 업데이트가 완료된 이후에 콜백을 실행하도록 보장해주는 비동기 유틸 함수 DOM?DOM(Document Object Model)은 HTML이나 XML 문서를 브라우저가 이해하고 조작할 수 있게 만든 트리 구조의 객체 모델이다.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들(텍스트, 버튼, 이미지 등)을 트리 구조로 표현했다고 생각하면 쉽다! Vue에서는 데이터를 바꾸면 자동으로 UI도 함께 바뀐다.예를 들어 ref()나 reactive()값이 바뀌면 Vue는 내부적으로 DOM을 새로 그려주는데 이런 과정을 렌더링이라고 한다. "데이터가 바뀌었으니까 DOM도 바뀌었겠지?! DOM 조작해!"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건 데이터가 바뀐다고 해서 DOM이 즉시 바뀌지는 않는다는.. 2025. 4. 11. Vue3 지금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프론트 부분은 vue3를 사용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처음 접하게 돼서 공부하고 배워가면서 하고 있다. Vue2 / Vue3 지금은 Vu3가 가장 최신 릴리즈라고 한다. Vue2에서는 Options API 방식으로 data, methods, computed, watch 등으로 나눠서 컴포넌트를 구성했지만Vue3에서는 Composition API라는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어서 로직을 기능 단위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나는 바로 Vue3로 시작해서 잘 몰랐지만 프로젝트 파일들을 보면 기능별로 컴포넌트들이 세세하게 쪼개져있어서 재사용하기 매우 편했고 기능별로 나눠져 있었기 때문에 구조 파악이 비교적 쉬웠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컴포넌트들의 로직 분리를 쉽게 할 수 있고.. 2025. 4. 2. 이전 1 다음